신영성은 서울에서 활동하고 있는 벤처캐피털리스트이다. © Smalltalk
“어릴 때 제일 좋아했던 게임 중 심시티라는 게임이 있었는데 이는 내가 도시를 만들면서 그 도시를 경영하는 그런 게임이다. 그런 나름의 전능감을 주는 행위가 코딩이었던 것 같다.”
코딩에 대한 흥미와 관심은 어떻게 갖게 되었는가?
(신영성, VC) 초등학교 1학년 때 집에 처음 컴퓨터가 생겼는데 너무 신기했다. 단순한 게임을 하거나, MS Dos에 명령어를 입력하면 반응하는 것들이 너무 재밌었다. 초등학교 4학년쯤 처음으로 컴퓨터 학원에 가게 되었고 컴퓨터 관련 자격증을 따라는 조언에 코딩이라는 것을 접했는데 너무 재밌었다. 내가 입력한 것에 반응하는 것을 보는 재미가 있었던 것 같다. 생각을 해보면 어릴 때 제일 좋아했던 게임 중 심시티라는 게임이 있었는데 이는 내가 도시를 만들면서 그 도시를 경영하는 그런 게임이다. 그런 나름의 전능감을 주는 행위가 코딩이었던 것 같다. 심시티를 할 때 내가 만든 도시에서 시민들이 행복해하는 것을 보는 것처럼 내가 코드를 짜면 그대로 프로그램이 만들어지고, 또 프로그램을 쓰는 유저들이 피드백을 주고 그런 과정들이 즐거웠다.
개발자에서 경영학도로 꿈이 변한 계기는 무엇인가?
(신영성, VC) 어릴 때는 코딩을 너무 좋아해서 학교에 다니는 둥 마는 둥 밤을 새워서 코드를 짰다. 그러다 고등학교 시절, 특히 고3 때 진로에 대한 고민을 깊게 하게 되면서 생각의 변화를 하게 됐던 거 같다. 어릴 때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코딩 공부를 같이하던 형들이 있었는데 그 당시 이미 현업에 있던 형들이 (그때는 지금처럼 프로그래머가 각광받는 시기가 아니었다) ‘너는 이제 프로그램을 많이 짜 봐서 잘 아는데 대학교에 와야 딱히 새로 배울 것은 적고 이걸로 취업을 해봐야 힘든 업종이다. 이미 너는 할 만큼 많이 해봤는데 이걸 대학교 와서 더 할 필요가 있을까?’라는 조언을 해주는 경우도 있었고, 스스로 생각할 때도 너무 여기에만 몰입을 했었어서 학창 시절이 거의 이거 하나로 정리가 돼버리니 나 스스로 역시 좀 넓은 세상, 넓은 시야를 가져보고 싶다는 욕구가 있었다. 그래서 진로를 이런 컴퓨터 관련 쪽이 아니라 아예 다른 쪽으로 생각하게 됐고 경영 쪽을 가게 됐다.
VC / 투자가가 되겠다고 결심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신영성, VC) 사실 투자 쪽은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경영대에 갔지만 경영대를 가서도 프로그래밍을 계속했었다. 수강 신청을 하는 프로그램을 짜는 등 일을 해서, 동기 학생들한테도 좋은 반응을 얻었고 학교에서 장학금을 받기도 했다. 프로그램 관련된 일들을 사이드로 하다 첫 번째 프로페셔널 커리어로 컨설팅 회사에 가게 됐다. 컨설팅 회사에서 일하면서도 개발 관련한 쪽에 접점이 있는 일을 찾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스타트업에서 개발 관련한, 또는 직접 개발하는 게 아니더라도 기술을 사업화할 수 있는 쪽을 해 보려고 많이 타진 했었고 잘 안된 케이스가 한 두세 번 있기도 했다. 계속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하던 중 컨설팅 선배 중에 VC가 먼저 된 선배가 ‘세상에 VC라는 일이 있는데 너같이 개발도 해봤고 컨설팅에서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도도 갖진 있는 사람이 하면 괜찮을 것 같다.’ 제안을 해줬다. 그때 이제 처음 VC라는 것을 알게 됐다. 굉장히 우연한 계기에 운이 좋게 일을 시작하게 된 케이스다.
“로스팅 업계의 테슬라 같은 존재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에 빠져들어서 투자하게 됐다.”
프로페셔널 투자가가 된 후 처음으로 투자한 종목은 어디였는가?
(신영성, VC) 제일 처음 한 투자는 커피 로스팅 머신을 만드는 기업 대상이다. 커피 로스팅 머신이 사실은 역사가 굉장히 오래된 기계이다. 커피콩, 즉 생두를 볶으면 우리가 흔히 접하는 원두가 되고 이 볶는 역할을 해주는 게 로스팅 머신이다. 역사가 200년 된 기계인데 여전히 200년 전의 기술로 그대로 사람들이 로스팅하고 있다. 가스 불을 때서 10분에서 15분 사이 불을 굉장히 세밀하게 조절해야 좋은 퀄리티의 원두가 볶아지게 되고 그걸 하는 사람을 로스터라고 한다. 로스터의 이런 노하우가 굉장히 중요해서 초심자들은 커피콩을 맛있게 볶기가 굉장히 어렵다. 첫 투자를 했던 회사는 전기를 열원으로 써서 머신을 자동화할 수 있게 만들었고 심지어는 챔피언 로스터가 볶은 프로파일을 적용, 버튼 하나만 누르면 그대로 볶을 수 있도록 자동화를 구현한, 거의 전 세계 최초의 업체였다. 이건 마치 로스팅 업계의 테슬라 같은 존재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에 빠져들어서 투자하게 됐다.
투자를 선호하는 인더스트리가 있는가?
(신영성, VC) 투자 회사를 바라보는 기간이 대략 한 아주 짧아야 3년 길게는 7년 8년까지도 바라보고 투자를 하기 때문에 3-5년 사이에 세상에 큰 임팩트를 낼 수 있을 만큼의 힘이나 기술을 가지고 있거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낼 수 있는 회사를 찾고 있다. 초기에서 투자를 집중했던 곳은 AI 관련된 기술업체들이었고 그다음에는 메타버스라고 불리는 가상현실 관련한 기술업체에 집중했다. 그다음에는 핀테크 쪽에 집중했었고 최근에는 디지털 콘텐츠라든지 글로벌 시장에서 수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그런 업체를 찾는 데 집중하고 있다.
